맨위로가기

카펠리뉴스 화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펠리뉴스 화산은 포르투갈 아조레스 제도 파이알 섬에 위치한 화산으로, 1957년부터 1958년까지 발생한 잠수함 분화로 유명하다. 이 분화는 지진, 해저 화산 활동, 섬 형성, 용암 분출 등을 동반했으며, 카펠루와 프라야두노르테 지역에 피해를 입혔다. 분화로 인해 164가구가 피해를 입었지만, 인명 피해는 없었다. 분화 이후, 미국으로의 이민을 허용하는 아조레스 난민법이 제정되어 지역 주민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현재 카펠리뉴스 화산은 관광 명소로, 폐허가 된 등대와 방문자 센터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이알섬 - 오르타 (아소르스 제도)
    오르타는 포르투갈 아소르스 제도 파이알 섬에 있는 도시이자 지방 자치체로, 대서양 횡단 항로의 중요한 기항지이며 유럽과 아메리카를 연결하는 해상 무역 중심지이자 요트 관광의 중심지이다.
  • 포르투갈의 화산 - 상미겔섬
    상미겔섬은 1427년 발견되어 다양한 국적의 정착민들이 이주해 온 아소르스 제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섬으로, 엔히크 항해왕자에 의해 정착이 허가되었으며 설탕과 오르칠 수출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고, 지질학적으로는 삼중 접합점인 테르세이라 열곡에 양분되어 6개의 화산 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폰타 델가다와 빌라 프랑카 두 캄푸에서 고래 관찰 투어가 가능하다.
  • 아소르스 제도의 산 - 피쿠산
    피쿠산은 포르투갈 아조레스 제도 피쿠섬에 위치한 성층 화산으로, 1562년부터 1720년까지 측면 분화가 있었고, PICO-NARE 관측소에서 대기 에어로졸 입자를 연구한다.
  • 아소르스 제도의 산 - 푸르나스 화산
    푸르나스 화산은 아소르스 제도에 위치한 복합 화산으로, 독특한 지형과 기후, 온천, 간헐천 등의 특징을 지니며 농업, 관광, 지열 에너지 활용 등의 경제 활동과 다양한 건축물을 통해 지역 사회의 문화적 가치를 나타낸다.
카펠리뉴스 화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카펠리뉴스
위치파이알섬, 아소르스 제도
산맥카펠로 화산 복합체
유형수르트세이 (1957년 9월 27일 ~ 1958년 5월 13일)
스트롬볼리 (1958년 5월 14일 ~ 1958년 10월 24일)
나이1957년 9월 27일과 1958년 10월 24일 사이
마지막 분화1957년 ~ 1958년
높이501m

2. 지형 및 생태

카펠리뉴스는 카펠루 화산 단지에 속하며, 과거 설트세이식 분화, 스트롬볼리식 분화, 하와이식 분화 등 다양한 화산 활동의 결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을 보여준다. 화산 분출로 인해 만들어진 이 지역은 분화 이후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식생 발달이 매우 더디며[2][3],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뜨거운 수증기가 분출되는 등 화산 활동의 영향을 받고 있다.

2. 1. 지질학적 특징

카펠리뉴스는 카펠루 화산 단지에 위치하며, 이 지역의 지형은 설트세이식 분화, 스트롬볼리식 분화, 하와이식 분화와 같은 화산 활동 유형의 특징을 보여준다. 주로 현무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드물게 하와이아이트질 암석도 발견된다.

2. 1. 1. 카펠리니안 분화

카펠리뉴스는 카펠루 화산 단지에 위치하며, 이곳은 카베수 두 포구에서 시작되어 서쪽 지역의 열극 화산 활동과 역사적 분화로 구성된다. 1957년에 시작된 사건은 폰타 도스 카펠리뉴스 절벽인 코스타두 다 나우에서 갑자기 종료된 화산 활동의 연장선이었다. 호르타 플랫폼과 유사하게, 이 반도는 설트세이식 분화, 스트롬볼리식 분화하와이식 분화 화산 유형에서 발생하는 형태 및 생성물과 일치한다. 이 지형은 주로 현무암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드물게 하와이아이트질 암석도 관찰된다.

카펠리뉴스는 파이알 해산의 비교적 얕은 해안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설트세이식 분화로 분류된다. 하지만, 아조레스 대학교의 화산학자이자 정교수인 Victor Hugo Forjaz|빅토르 우고 포르자스pt는 이 분화가 설트세이의 분화보다 5년 앞서 발생했고 포르투갈과 외국 과학자 모두에 의해 연구되었으므로 ''카펠리니안'' 분화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

카베수 노르테에 위치한 화산 통풍구는 화산 단지에서 180°C에서 200°C 사이의 수증기를 배출한다.

지리학자 크리스토프 네프는 1999년부터 카펠리뉴스 지역의 선구 식생에 대한 현장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2] 그는 최근 "피니스테라"에 발표된 논문에서 논문의 영어 초록에 "카펠리뉴스 분화 50년 후, 우리는 화산에서 어떤 나무나 덤불도 찾을 수 없다."라고 썼다.[3]

2. 2. 생태 환경

카펠리뉴스는 설트세이식 분화로 형성된 지역으로, 화산 활동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생태 환경을 보인다. 카베수 노르테에 위치한 화산 통풍구에서는 여전히 180°C에서 200°C 사이의 뜨거운 수증기가 배출되고 있다.

지리학자 크리스토프 네프는 1999년부터 카펠리뉴스 지역의 선구 식생에 대한 현장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2] 그의 연구에 따르면, 1957년 분화 이후 50년이 지난 시점에도 화산 지대에는 나무나 덤불이 거의 자라지 못하는 척박한 환경이 유지되고 있다.[3]

2. 2. 1. IUGS 지질 유산

잠수 화산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한 중요성을 인정받아 카펠리뉴스는 2022년 10월에 발표된 목록에서 국제지질과학연맹(IUGS)에 의해 전 세계 100개의 '지질 유산' 목록에 포함되었다.[4]

3. 역사

카펠리뉴스 화산, 파이알섬, 아조레스 제도. 사진 속 등대는 분화 이전 해안선을 보여준다.


카펠리뉴스 화산 분화는 잠수함 분화의 전 과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상세하게 기록할 수 있었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사람이 거주하는 파이알섬 가까이에서 발생했고 통신 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집중적인 연구가 가능했다. 분화 활동은 지역 공무원들과 전문가들에 의해 면밀히 관찰되었다.

1957년 9월, 메르칼리 진도 계급 V에 달하는 지진이 200여 차례 기록되며 분화의 조짐이 나타났다.[5] 곧이어 해안가 바닷물이 끓고 증기가 관측되었으며, 9월 27일에는 본격적인 잠수함 분화가 시작되었다.[5] 초기에는 격렬한 폭발과 함께 엄청난 양의 화산재와 수증기가 분출되어 인근 지역에 피해를 주었고, 주민들이 대피해야 했다.[5] 분화 과정에서 화산재가 쌓여 새로운 섬이 형성되기도 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파도에 휩쓸려 사라지기도 했다.

1957년 11월부터 시작된 두 번째 화산 활동으로 다시 섬이 형성되었고, 이는 결국 파이알섬과 지협으로 연결되었다.[6] 분출 활동은 점차 강해져 스트롬볼리식 분화 단계로 발전하여 용암 분출과 함께 강력한 폭발과 초음파가 발생하기도 했다. 1958년 5월에는 파이알섬 중심부의 칼데라에서도 푸마롤(분기공) 활동이 관측되었다. 약 13개월간 지속된 화산 활동은 1958년 10월 말에야 멈추었다.[6]

카펠리뉴스 등대. 화산 활동으로 인해 주변 지형이 크게 변했다.


분화로 직접적인 사망자는 없었으나, 화산재와 분출물로 인해 카펠루와 프라야두노르테 지역의 가옥과 농경지가 큰 피해를 입었다. 1958년 1월 보고서에 따르면 164가구가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되었다.[6]

이 분화는 사회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쳤다. 포르투갈과 미국의 긴밀한 관계를 바탕으로, 피해 지역 주민들의 미국 이주가 추진되었다. 미국 의회는 아조레스 난민법(1958년 9월 2일)을 통과시켰는데, 이는 로드아일랜드의 민주당 의원 존 오. 파스토레와 당시 매사추세츠의 젊은 상원 의원이던 존 F. 케네디가 적극적으로 후원했다. 이 법을 통해 1,500명의 아조레스 주민이 미국으로 이주할 수 있었으며, 이는 카펠루 지역 인구의 절반가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낳았다. 동시에 이민자들에게는 더 나은 생활 수준과 취업 기회를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다.

3. 1. 분화 과정

카펠리뉴스 분화는 잠수함 분화가 시작부터 끝까지 상세하게 기록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사람이 거주하는 파이알섬 가까이에서 발생했고 통신 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집중적인 연구가 가능했다. 분화 초기 활동은 지역 공무원들과 앙그라의 천문대 관계자들에 의해 면밀히 관찰되었다.

1957년 9월, 메르칼리 진도 계급 V에 달하는 지진이 200여 차례 기록되면서 분화의 조짐이 나타났다.[5] 9월 말에는 해안가 바닷물이 끓기 시작하고 증기가 관측되었으며, 곧이어 잠수함 분화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격렬한 폭발과 함께 엄청난 양의 화산재와 수증기가 분출되었고, 이는 인근 지역에 피해를 입히고 주민들의 대피를 야기했다.[5] 분화 과정에서 화산재가 쌓여 새로운 섬(Ilha Nova|일하 노바por)이 형성되기도 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바다 속으로 사라지기도 했다.

1957년 11월부터는 두 번째 화산 활동이 시작되어 다시 섬을 형성했고, 이는 결국 파이알섬과 연결되는 지협을 만들었다.[6] 분출 활동은 점차 강해져 스트롬볼리식 분화 단계로 발전했으며, 이 기간 동안에는 용암 분출과 함께 강력한 폭발과 초음파가 발생하기도 했다. 1958년 5월에는 파이알섬 중심부의 칼데라에서도 푸마롤(분기공) 활동이 관측되었다. 화산 활동은 1958년 10월 말까지 약 13개월간 지속되었다.[6]

분화로 인한 직접적인 사망자는 없었으나, 화산재와 분출물로 인해 카펠루와 프라야두노르테 지역의 가옥과 농경지가 큰 피해를 입었다. 1958년 1월 보고서에 따르면 164가구가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되었다.[6]

이 분화는 사회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쳤다. 포르투갈과 미국의 긴밀한 관계를 바탕으로, 피해 지역 주민들의 미국 이주가 추진되었다. 미국 의회는 아조레스 난민법(1958년 9월 2일)을 통과시켰는데, 이는 로드아일랜드의 민주당 의원 존 패스토어와 당시 매사추세츠의 젊은 상원 의원이던 존 F. 케네디가 후원했다. 이 법을 통해 1,500명의 아조레스 주민이 미국으로 이주할 수 있었으며, 이는 카펠루 지역 인구의 절반가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낳았다. 동시에 이민자들에게는 더 나은 생활 수준과 취업 기회를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다.

3. 1. 1. 1단계 (1957년 9월 ~ 10월)



카펠리뉴스 분화는 잠수함 분화의 전 과정을 기록할 수 있었던 중요한 사례이다. 사람이 사는 섬 가까이에서 발생했고 통신 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집중적인 연구가 가능했다. 분화 초기 활동은 지방 공공 사업부 국장인 엔지니어 프레데리코 마차도와 그의 보조 엔지니어 조앙 두 나시멘토, 측량사 안토니오 데니스가 시민 지사 프리타스 피멘텔의 승인을 받아 확인했다. 앙그라의 천문대 국장인 중령 조제 아고스티뇨는 해당 지역 상공을 비행했으며, 베르나도 알마다(호르타의 모나코 왕자 알베르 천문대 소속)는 지진 활동 증가와 관련된 여러 정보를 전달했다.

1957년 9월 16일부터 27일 사이에는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으로 진도 V(''중간'')에 해당하는 지진이 200회 기록되었다.[5] 9월 23일, 폰타두스카펠리뉴스 해안의 바닷물이 끓기 시작했고, 첫 증기는 오전 6시 30분경 등대에서 북서쪽으로 약 1km 떨어진 곳에서 목격되었다.[5] 지속적인 땅의 흔들림이 감지되었으며, 때로는 메르칼리 진도 IV 단계에 이르기도 했다.[5] 3일 후에는 화산 활동이 더욱 활발해졌다. 검은 화산재는 약 1400m 높이까지, 수증기는 약 4000m 높이까지 해안에서 떨어진 두 개의 작은 섬(ilhéuspor) 서쪽으로 솟아올랐다. 9월 27일 오전 6시 45분경, 폰타두스카펠리뉴스에서 300m 떨어진 곳(작은 섬들에서는 100m 거리)에서 잠수함 분화가 시작되었다. 카펠리뉴스 등대 근처 코스타두나우의 고래 관찰자들은 서쪽 바다가 심상치 않게 요동치는 것을 보고 등대 관리인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

10월 5일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남았다: "...점토 구름이 약 1km 높이까지 솟아올랐고, 고체 파편이... 주변 1200m 지역까지 도달했다..."[5] 이로 인해 해당 지역의 건물들이 처음으로 피해를 입기 시작했다. 창문이 깨지고 지붕에서 기와가 떨어져 나갔다. 다음 날인 10월 6일에는 처음으로 화산재가 육지에 떨어지기 시작했다. "몇 시간 만에 검은 재가 섬의 가장 서쪽 지역을 뒤덮었다..."[5] 화산재는 분화구에서 2.5km 떨어진 곳까지 도달하여, 노르테 페케노와 칸토 마을 주민들의 대피가 불가피해졌다.[5] 처음에는 가스와 화산쇄설물 폭발이 10월 13일까지 점차 줄어드는 듯했으나, 곧 격렬한 폭발, 용암 폭탄, 화산재 분출, 용암 바다 유입 등으로 빠르게 대체되었다. 이러한 격렬한 분화는 10월 말까지 계속되었고, 파이알 섬에는 끊임없이 화산재가 내려 농경지를 파괴하고 정상적인 농업 활동을 불가능하게 만들어 지역 마을 주민들이 대피해야만 했다.

10월 10일까지 분화는 작은 섬을 형성했는데, 현지인들은 이를 ''Ilha Nova|새 섬por'', ''Ilha dos Capelinhos|카펠리뉴스 섬por'' 또는 ''Ilha do Espírito Santo|성령 섬por''라고 불렀다. 이 섬은 지름 600m, 높이 30m였으며 바다 쪽으로 열린 분화구를 가지고 있었다. 10월 29일까지 이 섬은 거친 검은 화산재로 이루어져 높이 99m, 지름 800m까지 성장했다.[5]

분화의 첫 번째 단계가 끝날 무렵, 공영 텔레비전 RTP의 기자 카를로스 투델라와 바스코 호건 테베스, 신문 ''Diário Popular''의 기자 우르바노 카라스코, 그리고 보트 조종사 카를로스 라울리노 페이소토는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일하 노바''로 향했다. 섬에 도착한 그들은 포르투갈 국기를 꽂고 서둘러 섬을 떠났다. 하지만 이 '새 섬'은 10월 30일 바다 속으로 사라졌다.

3. 1. 2. 2단계 (1957년 11월 ~ 1958년 5월)

1957년 11월 4일, 두 번째 화산 활동이 빠르게 시작되어 두 번째 섬을 형성했으며, 11월 12일에는 파이알과 연결되는 지협이 만들어졌다. 폭발과 분출 활동은 점차 강해져 12월 15일에는 두 번째 화산 원뿔이 형성되면서 절정에 이르렀다.[6] 11월 16일경 폭우와 함께 많은 재가 쏟아진 후, 폭발 활동은 잠시 멈추고 용암이 흘러나오는 단계로 전환되었으며, 이 과정에서도 많은 재와 폭발성 암석이 분출되었다. 이 시기 가장 큰 분출 기둥은 높이 1450m에 달했으며, 12월 6일에는 화산재가 북서쪽으로 20km 떨어진 곳까지 운반되었다.[6] 12월 29일에는 활동이 잠시 중단되는 휴지기를 가졌다.

1958년 1월부터 4월까지는 새로운 재와 수증기(흰색 또는 어두운 색)가 지속적으로 분출되었다. 이 기간 동안 폰타두스카펠리뉴스 해안가의 기존 ''일헤우스''(작은 섬들)는 화산재와 모래 아래로 사라졌다. 또한, 새롭게 형성된 용암 원뿔과 지협은 파이알 섬의 일부가 되었으나, 이 과정에서 주변 지역 건물의 지붕이 파괴되고 등대로 접근하는 길이 막히기도 했다.

5월 12일부터 18일까지 450건의 지진 활동이 기록되는 등 활동이 다시 활발해졌다. 화산 활동은 스트롬볼리식 단계로 접어들어, 500m 높이까지 화산탄과 같은 분출물을 쏘아 올렸고, 중간 규모의 폭발과 함께 섬과 인근 지역의 문과 창문을 흔들 정도의 초음파를 발생시켰다. 5월 14일경에는 파이알섬 중심부의 칼데라 내부에서도 유황 증기, 끓는 진흙 등을 분출하는 푸마롤(분기공) 활동이 관측되기 시작했다.

3. 1. 3. 3단계 (1958년 5월 ~ 10월)

1958년 1월부터 4월까지 새로운 재와 수증기(흰색과 어두운 색)가 계속 쏟아졌고, 폰테두스카펠리뉴스 해안에서 떨어진 두 개의 작은 섬들은 모래와 재 아래에서 사라졌다. 이 기간 동안 용암 원뿔과 지협파이알섬의 일부가 되었고, 지역 건물의 지붕을 파괴하고 등대로 가는 공간을 채웠다.

5월 12일부터 18일까지 450건의 지진 활동이 기록되었으며[6], 화산은 스트롬볼리식 분화 단계로 이동했다. 이 단계에서는 500m 높이까지 화산탄을 방출하고, 적당한 폭발을 일으켰으며, 섬과 인근 섬의 문과 창문을 흔드는 초음파를 동반했다. 이 마지막 단계는 몇 달 동안 지속되었다. 5월 14일경에는 파이알의 칼데라 내부에서 푸마롤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유황 수증기, 끓는 점토 및 진흙을 방출하기 시작했다. 마지막 용암류는 10월 21일에 보였고 마지막 화산탄은 10월 24일에 보고되었다.[6]

분화로 인한 직접적인 사망자는 없었지만, 한 사람이 카펠리뉴스 분화구에 거의 빠질 뻔한 사고는 있었다. 일반적으로 재 퇴적물과 일부 화산탄으로 인해 카펠루 및 프라야두노르테 교구의 가옥이 파괴되고 농지가 황폐화되었다. 1958년 1월 15일에 제출된 보고서에 따르면 분화로 인해 164가구가 피해를 입었다.[6]

포르투갈과 미국의 긴밀한 관계 덕분에, 피해를 입은 교구 주민들의 이민이 이루어졌다. 아조레스 난민법(1958년 9월 2일)은 1,500명의 이민을 허용했으며, 이 법안은 로드아일랜드의 민주당 의원 존 패스토어와 당시 매사추세츠의 젊은 상원 의원이었던 존 F. 케네디가 후원했다. 카펠루 지역의 많은 가족 외에도 아조레스의 다른 시민들이 이러한 임시 조치의 혜택을 받았다. 이 이민 정책은 카펠루의 거주 인구를 50%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았지만, 이민자들의 생활 수준 향상, 더 많은 취업 기회 확보, 기본 소득 개선에 기여했다.

3. 2. 사회적 영향

카펠리뉴스 화산 분화는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6] 카펠루와 프라야두노르테 교구에 상당한 사회적 영향을 미쳤다. 화산재 퇴적물과 일부 화산탄으로 인해 가옥이 파괴되고 농경지가 황폐화되었다.[6] 1958년 1월 15일 보고서에 따르면 총 164가구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되었다.[6]

지속적인 화산 활동과 피해로 인해 많은 주민들이 삶의 터전을 잃고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카펠루 교구 주민들의 피해가 컸다. 이러한 상황에서 포르투갈미국의 관계를 바탕으로 미국 의회는 1958년 아조레스 난민법을 제정하여 피해 주민들의 미국 이민을 지원했다.[6] 이 법의 시행으로 많은 주민들이 이주하여 카펠루 지역 인구가 절반으로 줄었으나, 이민자들은 새로운 기회를 얻게 되었다.[6]

3. 2. 1. 아조레스 난민법

카펠리뉴스 화산 분화로 인해 피해를 입은 주민들, 특히 카펠루 교구 주민들의 어려움이 커지자, 포르투갈미국의 긴밀한 관계를 바탕으로 난민 이민이 추진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 의회는 1958년 9월 2일 아조레스 난민법을 제정했다. 이 법안은 로드아일랜드 출신 민주당 의원 존 오. 파스토레와 당시 매사추세츠의 젊은 상원 의원이었던 존 F. 케네디의 후원으로 통과되었으며, 총 1,500명의 아조레스 주민에게 미국 이민을 허용했다. 이 법은 카펠루 지역 주민들뿐만 아니라 다른 아조레스 시민들에게도 혜택을 주었다. 결과적으로 카펠루 지역의 인구는 절반으로 줄어들었지만, 이민자들은 미국에서 새로운 삶의 터전을 마련하며 생활 수준 향상, 더 나은 취업 기회, 소득 증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4. 관광

카펠리뉴스 화산은 파이알 섬의 주요 랜드마크이자 관광 명소로 알려져 있다.

4. 1. 폰타 두스 카펠리뉴스 등대

카펠리뉴스 화산은 파이알 섬의 주요 명소 중 하나이다. 화산 인근 절벽에 위치한 폐허 상태의 폰타 두스 카펠리뉴스 등대와 방문자 센터는 현재 주요 관광 명소로 활용되고 있다. 방문자 센터와 등대에서 화산의 칼데라 정상까지 이어지는 산책로가 마련되어 있다. 2007년 9월 27일에는 화산 폭발 5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으며, 이 행사는 포르투갈과 아조레스 제도 출신 이민자 사회 전역에 방송되었다. 이는 화산과 등대가 섬의 역사와 주민들의 삶에 미친 영향을 기리는 의미를 담고 있다.

4. 2. 방문자 센터

이 화산은 파이알 섬의 랜드마크이며, 폐허가 된 등대와 함께 화산 절벽을 따라 위치한 방문자 센터는 주요 관광 명소이다. 방문자 센터와 등대에서는 칼데라 정상까지 이어지는 산책로가 마련되어 있다.

참조

[1] 학술지 A erupção dos Capelinhos e Vulcanismo dos Açores https://www.nch.pt/b[...] 2007
[2] 웹사이트 Souvenirs de vingt ans de voyage de recherche à Capelo (Île le de Faial/Açores) https://cneffpaysage[...] Paysages: paysages et livres – Landschaften und Bücher – Landscapes and Books 2022-03-27
[3] 학술지 Observations de la dynamique végétale sur le Volcan des Capelinhos (Île de Faial, Açores, Portugal) (English Abstract citation of the original paper) https://revistas.rca[...] Finisterra, Revista Portugesa de Geografia 2022-03-27
[4] 웹사이트 The First 100 IUGS Geological Heritage Sites https://iugs-geoheri[...] IUGS 2022-11-05
[5] 서적 2007
[6] 서적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